서버 이름 : 서버 이름으로서 주로 내부 연결시 표시됨. 특히 윈도우 에서 네트워크 연결시 사용됨.
관리자 이름 및 패스워드 : 유저 중 하나로서 최고 관리자 설정
MyDS 설정 : MyDS 계정 설정으로서 이메일을 아이디로 하고 비번 설정. 이때 Quickconnect 용 이름 설정
추가 유저 설정 : 유저 추가시 아이디, 비번 설정.

퀵커넥트 :  포트포워딩, ddns 등의 설정없이 nas로 접속할수 있게해줌. quickconnect.to/퀵커넥트용이름, 또는 퀵커넥트용이름.quickconnect.to 로 접속함. 접속되면 id, 비번 넣고 접속.  

패키지 프로그램 (비디오스테이션,오디오스테이션,포토스테이션 등)을 설치하면 비디오,뮤직,포토 등의 공유 폴더가 생성됨.

추가적인 폴더는 생성 버튼으로 만들고 편집 버튼으로 공유 권한 등을 설정함. 


권한설정 : 제어판-사용자-설정하고자하는 사용자 클릭-편집-권한- 읽기/쓰기 or 읽기전용 등을 선택함. 응용플그램 사용에 대한 권한도 설정가능

Samba 윈도우즈 네트워크 서비스 설정 : 제어판-파일서비스-활성화 체크 및 작업그룹 이름을 동일하게설정
Ftp 서비스설정 :제어판-파일서비스-ftp-활성화 및 포트설정. 포트는 외부포트가 아닌  공유기와 DS사이의 내부포트임
Ftp에서 접속하기 위한 이름 XXX.synology.me 을 위한 ddns 설정 : 제어판-외부액세스-DDNS
공유기 포트포워딩설정 : 제어판-외부액세스-라우터구성-라우터설정-자동/수동 설정
수동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: 192.168.1.1로 공유기 진입-고급설정-LAN-DHCP서버-현재 nas에 부여된 내부ip주소를 고정목록에 추가하므로써 내부ip주소를 변하지 않게함. 공유기 고급설정-WAN-포트포워딩 메뉴에서 nas 의 ip주소에 대해서 21,80,5000,5001의 외부포트,내부 포트를 입력함. 내부포트,외부포트 중에 미리 선점된 포트번호는 다른 번호사용.

samba 연결 : 윈도우즈탐색기 - 네트워크 - 나스드라이브 더블클릭하여 연결
네트워크드라이브 연결 : 내컴퓨터/네트워크 오른쪽 클릭-네트워크드라이브연결. 공유폴더 연결하거나  ftp연결할경우는 "문서와 그림을 ..." 을 클릭하여 XXX.synology.me:num 으로 연결하면 집외부에서도 사용가능

팟플레이어로 스트리밍 즐기기 : 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, 열기 -> FTP/WebDAV/HTTP 열기를 클릭하여 ftp 연결.

퀵커넥트용이름.quickconnect.to 로 연결후 비디오스테이션,오디오스테이션을 실행하여 영화,음악감상.  퀵커넥트용이름.quickconnect.to/photo 로 연결하여 사진감상.

어플 이용 : DS file/video/audio/photo .  주소입력에는 XXX.synology.me, Quickconnect주소, 내부ip 주소의 세가지중 한가지 사용가능. DS photo 사용시에는 다른 어플과는 달리 5000번이 아니라 80번을 사용하므로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줘야함.

ES 파일탐색기 : 네트워크-스캔 으로 samba연결. 새로만들기-ftp 에서 씻XXX.synology.me 를 등록. 인코딩은 EUC-KR 로 설정

DicePlayer : scan samba로 연결. Add ftp로 연결

Perfect Veiwer : 열기-원격- + - 내부ip주소 등록. 열기-ftp-+-XXX.synology.me 등록

DS Cloud, folder sync 등의 어플을 이용해서 휴대폰과 나스의 데이터를 동기화 시킬수 있음

Kodi : 비디오-파일-비디오소스추가-탐색-네트워크위치추가-smb 선택및 내부ip주소입력-등록된 smb선택. 집외부에서 접근 필요시는 smb대신에  ftp 선택 및 XXX.synology.me  입력함

웹으로 음악듣기 : 제어판 - 응용프로그램포탈 - 오디오스테이션 - 편집 - 사용자 지정 별칭 활성화를 체크 -  리디렉션 원본에 체크하고 사용자 지정 포트(HTTP) 활성화를 체크하여 8800포트를 활성화 

웹브라우저에서 http://XXX.synology.me/audio/ 접속





Posted by ithryn
,